김병욱 의원, CFD(차액결제거래) 반대매매 급증 > 정치/경제/사회

본문 바로가기
    • 'C
    • 2025.05.15 (목)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경제/사회

정치 김병욱 의원, CFD(차액결제거래) 반대매매 급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1-10-21 17:30

본문

undefined- 1760억원이던 반대매매 규모, 올해 1~8월에만 3,818억원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정무위원회 여당 간사, 자본시장특별위원회 위원장, 경기 성남시 분당구을, 재선)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국내 증권사 차액결제거래(CFD) 반대매매 규모에 따르면 올해 18CFD 반대매매 규모는 3,818억 원에 이른다. 올 들어 증시가 출렁이면서 지난해(1,615억 원)2.3배 이상으로 늘었다.

 

CFD는 투자자가 실제로 주식을 매수하지 않고 주가 변동에 따른 차익을 얻을 수 있는 전문 투자자 전용 장외파생상품이다. 전문투자자인 고객이 실제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매수 및 매도 가격의 차액만 현금으로 결제하는 것으로 투자위험이 커 고위험 상품에 속한다.

 

일정 요건을 갖춘 전문 투자자만 CFD 거래가 가능하지만 CFD 거래 규모 및 계좌 역시 매년 급증하고 고객 수요도 늘고 있다. 올해 8월 말 기준 CFD 계좌 잔액은 42,864억 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 말(12713억 원)과 비교하면 3.4배로 급증했다. CFD 계좌 잔액은 지난해 11월 처음 2조 원대를 넘어선 데 이어 한 달 만에 4조 원대까지 돌파해 4조 원대 중반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CFD 계좌를 가진 개인투자자도 2019년 말 823명에서 8월 말 현재 6배에 가까운 4,720명으로 급증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증시 활황 속에 CFD를 통해 대규모 레버리지 투자에 나선 투자자가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은 행정지도를 통해 CFD의 최소 증거금 비율은 이달부터 기존 10%에서 40%로 높였지만, 지난달까지 증거금 1억 원으로 10억 원어치까지 주식을 살 수 있었다.

 

문제는 CFD도 주가가 급락할 때 투자자가 증거금을 추가로 채워 넣지 못하면 증권사들이 주식을 강제 처분하는 반대매매에 나선다는 점이다. 1860억원이었던 반대매매는 191,077억원, 지난 해 1,615억원으로 크게 증가하다가 올해는 18월에만 3,818억 원에 이른다. 올 들어 증시가 출렁이면서 반대매매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김병욱 의원은 최근 증시 변동성이 커지며 CFD 서비스를 활용한 투자 역시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단 우려가 나오고 있다, “CFD는 전문투자자를 대상으로 하지만, 전문투자자 요건이 까다롭지 않고, 지금처럼 증시가 크게 떨어질 경우 CFD 서비스를 통해 레버리지를 일으켜 투자한 종목의 주가가 급락하게 되면 대규모 반대매매가 추가적으로 나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연도별 증권사별 CFD 반대매매 규모>

                                                                                                                    (단위: 백만원)

금융회사명

'17년중

'18년중

'19년중

'20년중

'211~8월 중

DB

0

0

0

271

4,145

NH

0

0

0

0

0

교보

0

5,987

107,244

115,071

206,133

삼성

0

0

0

0

721

신한

0

0

0

2,608

0

유진

0

0

0

1,550

34,024

키움

0

0

396

35,747

107,377

하나

0

0

89

6,256

29,384

한투

0

0

0

0

2

합계

0

5,987

107,729

161,503

381,786




 

 


    성남시청소년재단
    성남시
    성남산업진흥원
    성남문화재단
    경기도의회
    성남시청소년재단
    성남시의회
    성남시청
    성남시청
    경기도의회
    성남문화재단
    성남시의회
    성남시청
    성남산업진흥원
    성남시청소년재단
    성남문화재단
    성남시청
    성남시의회
    경기도의회
    성남문화재단
    성남시의회
    아덱스
    성남시청
    경기도의회



최근뉴스

성남광주신문






상호 : 이지뉴스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101번길27, C812호
전화 : 070-5017-1777 대표 메일 : dlfhs_25@naver.com 청소년보호책임자 : 전승현
등록증 경기,아51845 발행인,변집인 : 전승현 등록일 2018년 4월 17일
© 2018 이지뉴스 - ALL RIGHTS RESERVED
.